경유 차에 휘발유 넣으면 연비가 좋아진다던데 사실인가요?
어떤 쇼츠에서 “인덕션도 불이 붙네”라는 제목으로 파스타면을 태우는 영상을 봤다. 많은 사람들이 영상에서 사용하는 기구가 인덕션이 아니라 하이라이트라고 지적하는 댓글을 남겼다.
사람들이 자주 헷갈려 하면서 분명히 두 가지가 서로 다르다는 것도 널리 알려져 있어서 되게 미묘한 논란 거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비슷한 느낌의 다른 사례들이 있나 고민해봤는데 잘 떠오르지 않았고 LLM은 생성해낼 수 있을까 궁금해서 OpenAI에서 만든 LLM인 o1에게 다음과 같이 물어보았다.
Q : 하이라이트 사진을 놓고 “인덕션도 불이 붙네” 라는 게시글을 쓰면 사람들이 “인덕션이 아니라 하이라이트 잖아요” 라고 댓글을 다는 것처럼 다른 사람들의 댓글을 유도할 수 있는 것들이 뭐가 있을까?
아래는 o1의 답변이다. 답변이 길지만 하이라이트된 부분만 읽어도 좋다.
o1 : 하이라이트 사진에 “인덕션도 불이 붙네?”라고 써놓으면 많은 분들이 “그거 하이라이트잖아요!”라고 댓글을 달게 만드는 것처럼, 일부러 살짝 헷갈리거나 틀리게 표현해서 정정·지적·참여 댓글을 유도하는 전략이 꽤 효과적입니다. 이 밖에도 아래와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 ‘오류나 헷갈림’을 의도적으로 심어두기
- 예) “이 사진 속 동물, 누가 봐도 호랑이 맞죠?”라고 올린 뒤, 사실은 표범 사진을 올려 사람들이 정정 댓글을 달도록 유도합니다.
- 예) 하이라이트 사진을 두고 인덕션이라고 말하는 것처럼, 독자가 직접 “아니, 그게 아닌데?” 하고 말하게끔 하는 방식입니다.
- ‘퀴즈형 질문’으로 참여 유도하기
- 글이나 영상 말미에 “제 요리 과정 중, 제가 깜빡 놓친 재료가 뭔지 아시나요?”처럼 질문을 던져 댓글로 답을 달게 만듭니다.
- 독자들이 적극적으로 생각해보고 참여하게 만들어 댓글이 늘어납니다.
- ‘외치기(Shouting)’ 또는 댓글을 피처링하기
- 이전에 댓글 달아준 구독자(혹은 독자)의 이름을 직접 불러주며 언급해주는 방식입니다. “지난번에 ‘미니멀리즘’ 관련해서 댓글 주신 ○○님, 정말 감사했어요!”라고 하면, 다른 독자도 “이번에는 나도 언급되고 싶다”라는 마음에 댓글을 남기게 됩니다.
- 의견 대립을 살짝 유도하는 토론형 질문
- “인덕션이 더 편하다 vs. 하이라이트가 더 편하다. 여러분은 어느 편이신가요?”처럼 양쪽으로 나뉠 수 있는 주제라면, 서로 다른 의견들이 댓글로 올라오면서 활발한 토론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개인의 경험을 묻고 공감 이끌어내기
- “여러분도 하이라이트 사용 중에 이런 실수 해보신 적 있나요?”처럼 독자들의 일상 경험을 물으면, 자신이 겪은 일화를 공유하는 댓글이 자연스럽게 늘어납니다.
이처럼 살짝의 ‘오류 유발’, 퀴즈, 토론형 질문 등을 활용하면 독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그 결과 댓글 수도 늘어나게 됩니다. 다만, 너무 의도적으로 보이거나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하는 표현은 악플로 이어질 수 있으니, 적절한 선을 유지하며 ‘재미있는 대화의 장’을 만들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구체적인 답변을 듣고 싶어서 추가 질문을 했다.
Q : ‘오류나 헷갈림’을 의도적으로 심어두기 사례의 구체적인 예를 몇 가지 들어줘
아래는 o1의 답변이다.
o1 : 아래는 ‘오류나 헷갈림’을 의도적으로 심어두어 사람들이 “어, 저건 아닌데?” 하고 댓글로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예시들입니다:
- 사진·문구 불일치
- 예) 고양이 사진을 올려놓고 “우리 집 멍멍이 너무 귀엽지 않나요?”라고 글을 쓰면, “고양이인데요?”라는 정정 댓글이 달리기 쉽습니다.
- 예) 초코케이크 사진에 “딸기케이크 좋아하는 분?”이라고 올려서 “저건 초코 아닌가요?”라는 반응을 유도할 수도 있습니다.
- 잘못된 정보나 사실을 살짝 섞기
- 예) “어제 개기월식 봤는데 엄청 파랗더라구요!”처럼 실제와 어긋나는 색깔 묘사를 넣으면, “개기월식은 붉게 보입니다”라고 정정하는 댓글이 달릴 가능성이 큽니다.
- 예) “이번에 한국이 유럽 챔피언스리그에서 우승했더군요!”처럼 말도 안 되는 정보를 넣어두면, “그건 아시아 대회인데요?”라는 반응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이름·호칭을 일부러 틀리기
- 예) 특정 셰프나 연예인의 이름을 살짝 틀리게 표기하고 “이 셰프 레시피가 최고더라구요!”라고 적으면, 팬들이 “그분 성함은 ○○○입니다!”라고 정정 댓글을 남깁니다.
- 예) 유명 지명을 잘못 써놓고 “이곳 정말 최고였어요!”라고 하면, “혹시 거긴 ○○가 아니라 ○○ 아닌가요?”라는 반응을 볼 수 있습니다.
- 헷갈리기 쉬운 용어 바꿔 쓰기
- 예) ‘하이라이트’와 ‘인덕션’을 일부러 뒤바꿔 써서 “인덕션도 불꽃이 멋지네요!”라고 올리면, “저건 하이라이트입니다!”라는 정정 댓글이 올라옵니다.
- 예) ‘휘발유’와 ‘경유’를 바꿔서 “경유 차에 휘발유 넣으면 연비가 좋아진다던데 사실인가요?”라고 물으면, “저건 큰일 납니다!”라는 댓글이 달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 날짜·시간 등 숫자 부분 틀려 쓰기
- 예) “오늘이 12월 33일인데 날씨가 정말 춥네요!”처럼 말이 안 되는 날짜를 언급해 “오늘 1월 2일인데요?”라고 반응하게끔 만듭니다.
- 예) “이번에 365일 동안 휴가 쓴 후기 올립니다!”라고 올려서 “그럼 1년 내내 쉬신 건가요?”라는 식의 반응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
의도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넣을 경우, 가볍게 잡담·농담 수준에서 받아들여지는 것이 핵심입니다. 너무 심한 잘못된 내용이나 악의적인 오정보는 역효과가 날 수 있으므로, 재미와 댓글 참여 유도 사이에서 적절히 균형을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원래 원하던 답변은 아니긴 했지만 4번째 항목의 예시를 보고 무릎을 탁 쳤다. 어떻게 이런 흥미로운 제목을 지어냈는지 아주 놀라웠다.
글 제목에 속아서 들어온 분들은 너그럽게 봐주시길..